DI1 spring 의존성 주입(DI, Dependency Injection), @Autowired, 생성자 주입 spring 관련 첫 글로 무엇이 좋을까 하다가, 의존성 주입에 대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. 가장 보편적인 케이스인 Controller라는 클래스에서 Service 클래스를 호출하는 코드를 통해 이해해보겠습니다. - Service @Slf4j public class BeanTestService { public void log() { log.info("log test..."); } } - Controller public class BeanTestController { public void beanTest() { BeanTestService.log(); } } BeanTestController에서 BeanTestService의 log라는 메서드를 사용하려고 호출해봤자, 사용하지 못합니다. 이러한 경우에 sp.. 2023. 5. 3. 이전 1 다음